-
해저케이블 (한국에서 미국 동부까지의 여정)🖋️ 끄저억 2025. 1. 4. 21:22
AWS 작업시 리전 항목으로 연결할 데이터센터를 지정하는데,
난 한국인데 미국 동부의 데이터센터로 설정하면 데이터가 태평양 해저 케이블로 오겠지?
라는 생각이 떠올랐다.
전세계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원리가 해저케이블이란 사실은 알고 있지만. 그 넓은 바다 밑에 해저케이블을 깐다는게 너무 신기하지 않나?
전세계 해저테이블 지도가 있당
그래서 전세계 해저케이블 지도를 찾았다.
https://www.submarinecablemap.com/
Submarine Cable Map
Copyright © 2024 TeleGeography
www.submarinecablemap.com
이런 사이트가 있더라구.. 흥미진진..
저 복잡한 선들이 바다 밑에 깔린 해저케이블!!!
한국은 요정도 있다.
선 하나를 클릭해보면 이렇게 정보가 뜬다.
아 너무 재밌어...
한국이랑 미국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지?
미국과 한국을 연결하는 해저케이블을 보면 되겠징?
찾아보기 귀찮아서 GPT 에 물어봄. ㅎㅋㅋㅋㅋ
케이블 이름 개통연도 주요 참여사 경로 NCP 2018 KT, Microsoft, SoftBank 한국 ↔ 일본 ↔ 미국 APG 2016 KT, SK Broadband, LG U+ 한국 ↔ 동남아 ↔ 미국 FASTER 2016 Google, China Mobile 일본 ↔ 미국 JUPITER 2021 Amazon, Facebook 일본 ↔ 미국 Unity 2010 Google, KT 일본 ↔ 미국 HKA 2025(예정) 중국 통신사 한국 ↔ 일본 ↔ 미국 PLCN 2022 Google, Facebook 한국 ↔ 미국 근데 저 경로에 나와있는 미국은 미국 동부가 아니라 서부이다.
그렇다면, 나와 미국동부 사이에 미국서부가 껴있단 뜻이겠지?
미국 서부 부터는 육상 네트워크를 타고 동부로 연결된다고한다.
다시 물어보니 아래와 같이 간접적인 루트로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고 한당
케이블 이름 경로 미국 동부 연결방식 TGN-Pacific 한국 ↔ 일본 ↔ 미국 서부 ↔ 미국 동부 대륙 횡단 AAG 한국 ↔ 동남아 ↔ 미국 서부 ↔ 미국 동부 대륙 횡단 HANNIBAL 한국 ↔ 중동 ↔ 유럽 ↔ 미국 동부 유럽 경유 AC-1 미국 동부 ↔ 유럽 대서양 횡단 Grace Hopper 미국 동부 ↔ 영국 ↔ 스페인 ↔ 아시아 유럽 경유 그럼 미국 버지니아 북부 AWS 데이터센터랑 나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AWS 미국 동부(버지니아 북부) 리전을 한국에서 사용하는 경우, 인터넷 트래픽은 주로 태평양 해저 케이블을 통해 미국 서부로 먼저 전달된 후, 미국 내 육상 광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동부(버지니아)까지 이동한다고 한다.
즉, 한국과 버지니아가 해저 케이블과 미국 내 대륙 횡단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
🌐 한국 ↔ AWS 미국 동부(버지니아 북부) 연결 경로
1. 한국 → 미국 서부(캘리포니아, 오리건)
먼저, 한국의 인터넷 트래픽은 태평양을 횡단하는 해저 케이블을 통해 미국 서부 해안(주로 캘리포니아나 오리건)으로 도착
주요 태평양 횡단 해저 케이블:
해저 케이블 이름한국 출발지미국 도착지속도NCP 부산 오리건(Portland) 80Tbps APG 부산 캘리포니아(Los Angeles) 54Tbps FASTER 일본 경유 오리건 60Tbps Unity 일본 경유 캘리포니아 7.68Tbps
2. 미국 서부 → 미국 동부(버지니아)
미국 서부에 도착한 트래픽은 미국 내 대륙 횡단 광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버지니아 북부(애시번, 버지니아)에 위치한 AWS 데이터 센터로 이동
🚛 미국 내 대륙 횡단 네트워크
미국은 대규모 광섬유 백본 네트워크로 서부와 동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 광케이블은 수천 km에 걸쳐 미국 전역을 연결하며, 주요 통신사들이 이를 운영한다.
미국 내 주요 광섬유 백본 네트워크:
- Verizon
- AT&T
- Lumen (구 CenturyLink)
- Zayo Group
3. 미국 동부(버지니아 북부) → AWS 데이터 센터
AWS의 미국 동부 리전은 버지니아 북부(Ashburn)에 위치한 주요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
버지니아는 전 세계 인터넷 허브 중 하나로, 수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이 지역에 데이터 센터를 두고 있다.💡 버지니아 북부(애시번)은 전 세계 인터넷 트래픽의 약 70%가 통과하는 지역!
AWS, Microsoft, Google 등 거의 모든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 센터가 이 지역에 몰려 있다.
왜 미국 서부가 아닌 동부로 연결될까?
버지니아 북부 리전이 중요한 이유
1️⃣ 인터넷 허브 역할: 버지니아 북부는 전 세계 주요 인터넷 허브 중 하나로, 인터넷 백본 네트워크의 중심이야. 전 세계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이 이 지역을 거쳐 간다고 봐도 됨.
2️⃣ AWS 최대 리전: AWS의 미국 동부(버지니아 북부) 리전은 AWS가 운영하는 가장 큰 리전이야. 이 리전은 최신 서비스가 먼저 출시되고, 가장 많은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s)을 제공
3️⃣ 낮은 지연 시간: 미국 동부는 미국 주요 도시와 가까워서 미국 내 사용자에게 더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 미국 내 대부분의 대형 금융기관, 정부 기관, IT 기업이 이 지역을 통해 서비스를 운영
🚀 한국에서 미국 동부 버지니아 북부 리전으로 연결될 때의 경로 요약
1️⃣ 한국 → 태평양 해저 케이블 → 미국 서부(캘리포니아/오리건)
2️⃣ 미국 서부 → 미국 동부(버지니아) 대륙 횡단 광케이블 네트워크
3️⃣ 버지니아 북부 → AWS 데이터 센터(애시번)💡 정리: 한국 ↔ AWS 미국 동부(버지니아 북부) 연결 방식
한국에서 AWS 미국 동부(버지니아 북부) 리전에 접속할 때는:
- 한국에서 태평양을 횡단하는 해저 케이블을 통해 미국 서부에 먼저 도착.
- 이후 미국 내 대륙 횡단 광케이블을 통해 미국 동부(버지니아 북부) 데이터 센터로 연결.
- 이 연결 경로는 대부분의 글로벌 인터넷 트래픽이 사용하는 표준 경로.
💬 한 줄 요약:
한국에서 AWS 미국 동부(버지니아 북부) 리전은 주로 태평양 해저 케이블 → 미국 서부 → 대륙 횡단 네트워크 → 버지니아를 통해 연결~'🖋️ 끄저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고 쓰기] 확신과 성과의 관계 (2) 2024.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