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미국출장 #2 워싱턴에서 하루🐤 직장인 2024. 8. 16. 12:38
월~목 까지 교육을 듣고 금요일 하루 자유시간이 주어졌다. 목요일 교육 수료 후 상사랑 바로 워싱턴 국제공항 근처에 잡아둔 숙소로 이동했다. 1. 워싱턴으로 이동했슴다목,금 2박동안 머문 숙소는 하얏트 리젠시 덜레스(Hyatt Regency Dulles) 로 내가 예약할 당시 공항 접근성이랑 가격측면을 고려했을 때 가장 합리적이어서 골랐다. 숙소 ㄹㅇ 퀄리티 도랐다.그리고 여기는 물도 준다.. 스타벅스 커피캡슐도 있다.. 최고다. 아픈게 다 사라지는 느낌 상사랑 저녁먹으러 가는길에 존귀 친구 한번 만나고, 쌀국수로 저녁 해결했다. 아메리칸 피플들 육수내는 법 다시 배워야겠다. 2. 도라버린 숙소 뷰숙소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노을 풍경~!~!!!!!방의 한면 전체가 다 유리창인데, 공항쪽으로 트여있어서 1..
-
미국출장 #1 GSE Jade 교육받기🐤 직장인 2024. 8. 16. 12:02
16주간의 출장 중 일주일 동안은 미국 출장을 다녀왔다. 출장 장소는 볼티모어로 워싱턴 근교이며, GSE 라는 회사가 있는 곳이다. 출장 목적은 Jade라는 시뮬레이터 모델링 툴 학습이다. 1. 출국, SSSS 걸린 썰일요일 오전 10시 비행기라 새벽 첫 공항리무진을 타고 출발했다.당시 무리한 당진출장 스케쥴로 감기몸살이 딱 걸린 상태라 거의 좀비상태였다. 병원도 못가고 대충 타이레놀이랑 감기몸살약만 챙겼다...'미국','비행기', '새벽출발' 설레는 단어의 조합이겠지만 컨디션 바닥치는 중이라 설렘따위 없었다.이게 뭐냐면, 온라인 체크인도 안되고 공항에 있는 셀프 체크인도 안되길래 대면 체크인을 하러 갔더니...대한항공 직원분께서,,,혹시 2차보안검색에 대해 아냐고 물어보셨다. 모른다고 하니 발권 티켓을..
-
출장만 16주🐤 직장인 2024. 8. 14. 16:17
2월 15일부터 6월 4일까지 출장 인생 살다온 직장인입니당..출장지는 당진화력발전소 입니다.. 찍은 사진이 많은데.. 사실 발전소 내 사진은 불허라.. 다 올리지 못하는게 아쉽슴다..고생고생개고생의 1%밖에 풀지 못한다니 16주간 일상 패턴1. 월요일 아침 7시 시외버스를 타고 당진 터미널에 내린다.여기서 사수를 기다리면 픽업하러 와주신다. 2. 사수 차를 타고 당진 화력발전소로 간다.입구가 동문 서문 두 개가 있는데 임직원은 동문으로, 방문객은 서문으로 출입을 해야한다. 서문이 더 멀다.3. 출입증을 받고 시뮬레이터 업무 장소로 들어간다.여기서 부터는 사진 없다.. 내 앨범에는 많은디..이 안에서 정말 많은 일이 있었다.발전소 직원분들과 우리 대표님과, 나와 사수와, Siemens 인도 엔지니어와,..
-
130만원 짜리 몸 만들기💙나의 일상 2024. 6. 11. 14:37
내 나이 어느덧 27살.. 윤석열 나이 26살..아직 20대 이지만 20대 후반을 향해 질주하고 있다.( 제발 멈춰줬으면 좋겠다.. ) 16주간 출장과 무기력한 하루하루 보내다보니 체력이 저 바닥까지 내려간 기분이 들었다.최근엔 탕비실 과자도 많이 먹어서 내 혈관한테 미안한 감정까지 들었다.다 내 나이탓이다. 속절없이 늙어가는 내 자신을 위해 뭐라도 해야할 것 같았다. 처음엔 PT 없이 직접 유툽 보고 공부해서 혼자 운동하려고 했었다. 중소 월급에 PT는 사치 아닙니까..ㅠ 그러면 3달 회원권 약 21만원 인데,나는 나를 잘 안다. 1. 나는 극 I 형 인간이다.MBTI 에서 I 가 약 80% 인 나는 인생 첫 헬스장에서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혼자서 고군분투하며 운동할 인재가 되지 못한다.아마..
-
[읽고 쓰기] 확신과 성과의 관계🖋️ 끄저억 2024. 5. 23. 08:45
👇🏻 읽어보기 박부장 "되겠어?" 김부장 "되겠네" 확신이 있고없고 성과는 천지차이 - 매일경제Cover Story '확신의 심리학' 저자 네이트 진서흔들리지 않는 확신을내면에 가지고 있어야지금 무엇을 해야할지오래 고민하지 않아도바로 실행할 수 있어좋았던 경험 돌아보고잘되는 상황 상상하www.mk.co.kr 회사를 다니면서 느낀 것은 생각보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는 거다. 신입이여서 그런 것도 있고, 공학을 전공한 게 아니기 때문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그러다보니 나한테 어떠한 일이 주어졌을 때, ' 아 나 이거 할 수 있나? ' 라는 의문이 들 때가 많다. 오늘 신문을 읽다가 위의 글을 읽게 되었다. 가장 인상 깊었던 문구다.최고 수준의 성과를 내는 것이 목표라면 ..